𝙋𝙧𝙤𝙟𝙚𝙘𝙩 𝙄 𝘼𝙢 𝙃𝙚𝙧𝙚
프로젝트 소개
나 여기 있어, 2023–2025
흩어진 존재들의 빛과 온도, 그 파편을 마주하려는 지속적인 시도
‘나 여기 있어’는 상실 이후의 감각을 예술로 되새기고, 존재의 자취를 회복의 흐름 속에서 그려내는 프로젝트다.
2022년 3월 14일, 작가는 언니와 이별했다. 1년 뒤, 언니의 방은 조용한 전시 공간으로 변모했고, 그곳에서 작가는 회화, 조형, 시를 전했다. 이를 통해 ‘애도’와 ‘창작’이 맞닿는 순간, 동시에 하나의 출현을 맞이했다.
2023년 첫 전시는 의례화된 추모의 틀을 흔들며, 삶과 죽음을 감각적으로 마주하는 방식을 모색했다. 일상과 애도가 중첩된 공간은 다시 숨 쉬었고, 조용한 감응과 만남의 장이 열렸다.
2024년과 2025년으로 이어지는 ‘나 여기 있어’는 매해 다양한 시도로 ‘출현’의 여정을 거듭한다. 글, 회화, 조형, 설치, 퍼포먼스, 영상, 대화, 목소리 등 다층적인 감각이 어우러져 ‘존재’, ‘기억’, ‘시간’, ‘공간’에 관해 사유하게 한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죽음의 기록에 머무르지 않고, 남겨진 자리에서 여전히 살아 숨 쉬는 마음과 움직임, 시간과 목소리를 남긴다. 개인적인 애도에서 시작한 작업은 타자와 마주하며 사회적 감각으로 확장된다. 그 과정에서 회복의 언어는 천천히 생명을 품고, 또 다른 탄생으로 이어진다. 존재는 사라지지 않는 존귀한 가치임을 증명한다.
‘나 여기 있어’는 현이 전력을 다해 맞이한 시작점이자, 점차 모습을 드러내는 ‘출현’의 여정을 담는다. 그리고 먼 훗날 톺아보았을 때, 뿌리 깊고 견고한 ‘관계성’의 서사로 자리할 것이다. 되돌아보고, 뒤돌아보게 한다.
“지금, 여기에 있다는 건 무엇인가.”
Project Introduction
I Am Here, 2023–2025
A sustained endeavour to confront the scattered fragments of existence—their light, warmth, and traces.
I Am Here is a project that reimagines the sensibilities following loss through art, tracing the marks of being within the currents of healing and reflection.
On 14 March 2022, the artist parted with her elder sister. One year later, her sister’s room transformed into a quiet exhibition space where the artist offered paintings, sculptures, and poetry. In this space, mourning and creation converged—marking a moment of emergence.
The inaugural 2023 exhibition challenged conventional rites of remembrance, exploring a tactile encounter with life and death. The overlapping realms of daily life and grief breathed anew, opening a space for silent resonance and connection.
Continuing into 2024 and 2025, I Am Here unfolds as a journey of emergence through diverse forms: writing, painting, sculpture, installation, performance, video, dialogue, and voice. These layered sensibilities invite contemplation on existence, memory, time, and space.
This project moves beyond a straightforward record of death. It preserves the living pulse of heart, movement, time, and voice that linger in the absence. Originating in personal mourning, the work engages with others, expanding into a shared social consciousness. Within this unfolding process, the language of recovery gradually nurtures new life, affirming existence as an enduring and sacred value.
I Am Here stands as a devoted commencement by the artist—a journey of gradual emergence. Viewed from the future, it will assuredly root itself as a profound and resilient narrative of connection. It invites reflection and reconsideration.
“What does it mean to be here, now?”
𝗔𝗿𝘁𝗶𝘀𝘁 𝗛𝗬𝗨𝗡
작가 현